올해는 ‘역사의 해’라고 불릴 만큼 많은 역사적 의미를 지닌 해다. 한일병합 100년, 안중근의사 순국 100년, 6·25전쟁 60년, 4·19혁명 50년, 5·18민주화 운동 40년 등 역사적인 의미가 깊은 해지만 역사교육 정책은 더욱 부실해져 그 의미를 찾기가 어려워 졌다.


  지난해 발표된 교육과정 개정안에 따르면 국·영·수를 포함한 전 과목이 선택과목으로 변경됐다. 이로 인해 이전에는 ‘국사’라고 불렸던 ‘한국사’ 과목은 필수과목이 아닌 선택과목으로 바뀌었다. 지난 교육과정의 경우 고등학교 1학년 역사 수업은 필수로, 2·3학년은 한국문화사, 세계역사의 이해, 동아시아사 중 최대 2과목을 선택해 이수하도록 했다. 하지만 개정된 교육과정에서는 역사관련 과목이 한국사, 동아시아사, 세계사로 개편된 동시에 선택과목으로 바뀌어 비중이 심각하게 위축됐다. 교육과학기술부 유상범 교육연구사는 “선택과목으로 변경 이후 역사교육이 약화될 우려가 있어 최소 하나 이상의 역사과목을 필수로 이수하도록 지도를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교육과정개편에 대해 전문가들은 “과목 선택의 자율성을 높이고 교육수요자의 선택의 폭을 넓히겠다는 명분이 우리나라 교육현실과 맞물리며 학생들이 영어와 수학에만 몰입하도록 만들고 있다”고 비판했다. 역사교육연구회 류승렬(강원대 역사교육) 부회장은 “동아시아 지역에서 일어나는 문제들은 대부분 역사문제”라며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지만 전무한 상태”라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국민이 자기 역사에 무지하면 다른 나라에게도 무시를 당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역사 과목을 최소한 필수과목으로 지정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더불어 교사들이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뒷받침해줄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양정현(역사교육) 교수는 “제도차원에서 역사교육 왜곡문제가 해결될 수 있었던 지난 교육과정을 제대로 시행해보지도 않고 뒤엎어버리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우리의 주체의식 정립에 필수적인 역사를 소홀하게 취급하는 것은 한국교육의 비극”이라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