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관당 인구수 6.5만명… 영국의 5배 독일의 7배 수준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수는 선진국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가입 국가 평균 개수의 절반 수준이며 장서 수도 적은 편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정부의 지원 확대로 공공도서관 건립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아직은 그 숫자가 크게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 이성덕 사무관은 “선진국은 꾸준히 도서관 수를 늘리기 위해 노력해왔고 그에 비해 우리나라는 경제발전 정도도 늦고 다른 기간시설의 확충도 미뤄져 공공도서관 수가 부족한 편”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12월 기준 공공도서관 수는 748개이며 이를 전체 인구수에서 나눈 1관당 인구수는 약 6.5만 명이다. 1인당 장서 수는 2009년 기준 1.26권에 불과하다. 미국의 1관당 약 3.2만 명에 비해 두 배로 많은 인구를 도서관 한 곳에서 감당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이는 영국(약 1.3만 명)의 약 5배, 독일(약 9천 명)의 약 7배에 해당하는 수치다. 지식정보 관리체계가 잘 돼있는 스페인에 비교하면 거의 10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이처럼 공공도서관이 부족하면 이용자를 위한 서비스 수준이 떨어지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지식정보의 관리와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도 문제가 생긴다는 지적이 있다. 도서관 늘리기 운동을 진행 중인 시민단체 ‘도서관친구들’의 김석 홍보부장은 “인간은 사회적인 유기체이기 때문에 혼자서는 살 수 없는데 도서관은 인류의 집약된 지혜를 통해 혼란스러운 개인의 삶에 도움을 줄 수 있다”며 “하지만 도서관이 부족하다면 이런 해답을 얻기 위해 많은 어려움을 겪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공공도서관이 계속 지어지면서 필요한 인력은 증가하는데 반해 1관당 운영인력은 정체 또는 줄어들고 있는 것도 문제다. 2004년부터 2009년까지 도서관 수는 487개에서 703개로 44.3% 증가했지만 운영인력은 5,679명에서 6,785명으로 19.4%가 증가했을 뿐이다. 이는 곧 서비스의 질적 하락을 의미한다.


  한편 이 같은 문제점의 개선을 위해 정부에서는 꾸준한 예산편성과 도서관 확충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성덕 사무관은 “공공도서관 확충계획에 따라 그 수를 2013년까지 900개관까지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그렇게 되면 1관당 인구 5만 명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지역 교육문화시설인 도서관 수를 늘리면 지역 간 교육 격차 해소와 평생 교육 증진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문화체육관광부 업무계획에 따르면 생활밀착형 ‘작은도서관’을 읍ㆍ면ㆍ동 당 1개소씩 조성할 계획이다. 김석 홍보부장은 “도서관 수를 2천여 개까지 확충한다면 시민들이 차를 타고 멀리까지 가지 않더라도 10분 거리의 도서관을 이용할 수 있다”며 “도서관과 친해지기 위해서는 가까운 위치는 필수이며 언제든지 쉽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