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대학 통·폐합이 화두가 되고 있는 가운데 올바른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통·폐합을 올바르게 추진하기 위해서는 △‘장기적’ 통·폐합 △지리적 적합성 고려 △캠퍼스 간 교류 △학생 복지에 대한 본부의 배려가 제시된다.

  전문가들은 대학이 통·폐합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대학의 강점 분야와 지역 사회의 연계를 고려해 ‘장기적’으로 통·폐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대학교육연구소 민은희 연구원은 “대학들이 장기적 발전 방안보다 정부 정책에 편승하려 한다”며 “장기적으로 추진해야 특성화와 자생력 강화라는 목표를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립대학 통·폐합의 추진 주체인 교육과학기술부(이하 교과부)는 올바른 통·폐합의 기준으로 ‘지리적 적합성’을 제시했다. 지리적 적합성을 중시하는 이유는 통·폐합 시 거리가 지나치게 먼 대학 간의 통·폐합을 배제하고 수도권 집중을 막기 위해서다. 캠퍼스 간 거리가 멀 경우 교류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교과부 국립대학제도과 류승의 씨는 “해당 지역에서 필요로 하는 산업이 있는 경우 그에 맞춰 특화할 수 있는 학교를 중심으로 심사를 진행 한다”고 말해 지역 사회와의 연계 역시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에 우리학교 학생들은 캠퍼스 간 활발한 교류와 통합된 캠퍼스의 학생 복지에 대한 본부의 배려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 학교라는 공통된 소속감을 가지지 못하기 때문이다. 윤지현(생명과학 2) 씨는 “밀양캠퍼스와 거리가 멀고 교류가 적어 소식을 모른다”며 “교류가 늘어야 밀양캠퍼스도 우리학교처럼 느낄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통·폐합 당시 밀양대학교 학생이었던 ㄱ 씨는 “현재도 밀양캠퍼스에서 생활하고 있지만 등록금은 동일한 반면 학내 복지에 있어 부산캠퍼스만큼 배려를 받지 못하고 있다”며 “같은 학교 학생이라는 소속감을 가지려면 배려가 필요하다”고 이야기 했다. 이처럼 통·폐합된 대학의 학생들이 같은 학교 학생이라는 인식이 부족한 부분에 대해 민은희 연구원은 “학생들 간 차별적 인식이 존재한다면 명목 상 이뤄진 ‘기계적’ 통합일 뿐”이라며 “장기적 발전 계획을 공유하고 학내 구성원이 소속감을 공유하는 ‘화학적’ 통합을 지향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