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지원 확대와 함께 소규모 출력시스템 개선해야

  공동체라디오는 시·군·구라는 기초지방자치단체를 방송권역으로 하는 비영리 라디오다.  시민들이 자율적으로 방송하는 공동체라디오는 △지방자치 발전 △지역공동체 형성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방송 접근권 실현 등의 목적을 가지고 지난 2005년 도입됐다. 그러나 도입한 지 6년이 지났지만 재정난과 소규모 출력으로 인해 공동체라디오는 초기 설립 목적에 다가가지 못하고 있다.


  공동체라디오는 지난 2005년 처음으로 시험 방송을 시작했고 지난 2009년에는 △마포FM △광주시민방송 등 7곳이 정식 허가를 받았다. 공동체라디오는 지상파에서 다루지 않는 각 지역의 이야기를 다루며 지역 사안에 대한 의견을 공론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FM분당 정나라 PD는 “공동체라디오는 지상파 방송에서 다루지 못하는 지역만의 소식과 문화 등을 전할 수 있다”며 필요성을 말했다.


  그러나 공동체라디오는 운영에 필요한 재정이 부족하고 출력할 수 있는 범위가 극히 좁아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기존 FM라디오가 대출력(500W~10㎾) 방송이라면 공동체라디오는 주로 10W이하의 소출력 FM을 이용한다. 소출력이기 때문에 청취 범위가 좁아 제한된 지역의 주민들만 라디오 청취가 가능하다. 광주시민방송 정한형 방송부장은 “현재 출력 범위가 좁아 광고수입도 어려운 실정”이라고 전했다.


  또한 공동체라디오는 지역의 소식을 전하는 것 외에 재난방송으로서 기능도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시행되지 않고 있다. 지난 2005년, 미국에서 허리케인 카트리나가 남부지역을 강타했을 때 그 지역 공동체라디오는 비상운영센터로서 기능을 해 많은 지역민의 생명을 구했다. 일본의 경우에도 지난 3월, 규모 9.0의 대지진을 겪었을 때 난민들에게 지진 정보와 지역 재해 대책본부 정보 등을 제공했다. 그러나 우리나라 공동체라디오는 낮은 출력과 재정문제로 재난방송 송출조차 어려운 실정이다. 공동체라디오 방송국 관계자는 “우리나라 공동체라디오는 소출력이기 때문에 사업진행 자체가 어렵고 이에 따라 재난방송마저 송출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공동체라디오는 지역민들에게 꼭 필요하지만 정부의 지원은 미비한 실정이다. 전주시민미디어센터 최성은 사무국장은 “정부의 지원을 요구하는 성명서도 발표했으나 정부는 묵묵부답”이라며 “정부는 자생하라고만 하는데 공동체라디오는 공익적인 매체라 자생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현재 부산지역에는 공동체라디오가 없다. 새롭게 라디오 방송국을 설립하려면 정부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데 정부는 허가 자체를 하지 않고 있다. 공동체라디오 활성화를 위해 활발히 활동 중인 익산공공영상미디어센터 이진행 연구소장은 “공동체라디오 방송국을 준비하고 있더라도 정부는 모집 공고를 하지 않아 설립이 불가능한 상황”이라며 정부의 역할을 촉구했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