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왜곡의 역사|

  역사란 인류 사회의 변천과 흥망의 과정을 기록한 것이다. 오랜 시간동안 있었던 많은 사건들이 지금은 역사가 되었고, 오늘날에도 역사는 쓰이고 있다. 하지만 후손들은 자기과시 또는 방어를 위해 역사를 왜곡하는 경우도 있다.

동북아의 끊임없는 역사분쟁

  중국의 동북공정은 중국 국경 안에서 전개된 모든 역사를 중국 역사로 만들기 위해 2002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프로젝트이다. 중국 정부는 동북공정을 통해 고구려를 비롯한 고조선, 발해 등의 한국 고대사를 왜곡하고 있다. 이는 향후 한반도의 정세변화가 미칠 영향과 충격을 줄이고 변화에 따라 재편될 국제정세를 중국에서 유리한 방향으로 이끌려는 '동북아전략'이다. 역사학연구소 전명혁 연구원은 "중국이 짧은 시간 안에 강대국이 되면서 우리의 역사를 왜곡하여 합리화하려 한다"며 "대학생들이 꾸준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교과서 파동'이라고 불리는 일본의 교과서 왜곡 문제는 1997년 '새로운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이 결성된 이후 노골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1982년 문부성이 출판사로 하여금 일본의 '침략'을 '진출'로, '탄압'을 '진압'으로. '출병'을 '파견'으로 기술하도록 지시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외교적 파동을 일으키기도 했다. 동북아역사재단 남상구 연구원은 "한.중․일간의 관계가 경제적으로도 중요해지는 시점에서 역사문제가 발목을 잡고 있다"면서 "서로 간에 피해사례와 가치문제를 인식하고 최종적으로 공동의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전했다.

우리나라의 역사왜곡

  우리나라 역시 역사왜곡에서 배제될 수 없다. '인민혁명당(인혁당) 사건'이 그 예다. 1974년 4월 군사독재에 맞서 대학생들이 궐기하자 당시 중앙정보부가 국가보안법 위반 등의 혐의로 23명을 구속 기속했다. 이 중 8명에게는 대법원 상고가 기각된 지 20여시간 만에 사형이 집행됐다. 하지만 지난 5일 인혁당 사건에서 남파간첩의 누명을 쓰고 인혁당 창당 배후로 지목됐던 고(故) 김상한씨의 유족들에 대해 국가가 28억원을 배상하라는 판결이 나왔다. 역사학연구소 전명혁 연구원은 "국가보안법, 반공법 등으로 무고한 개인이 간첩으로 왜곡되어 희생되면서 민주주의도 억압당했다는 의미가 있는 사건이다"고 말했다.

  역사는 그저 지나간 일이 아니라 우리 민족의 살아온 흔적이다. 이러한 역사가 왜곡되는 것에 대비해 역사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국사편찬위원회 강상문 사료조사 위원은 "우리의 역사를 바로 알기 위해서는 중.고등학교 때부터 역사교육을 강화시켜야 한다"며 "청소년들에게 역사교육을 통해 올바른 국가관을 확립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