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부터 진행된 정문 개선사업이 8년째 지지부진한 상태다. 이에 새로운 총장이 취임하면서 사업이 원활히 진행될 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정문 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은 현재 정문이 완공된 2009년부터 이어져왔다. 보행자의 안전을 보장하지 못하고 상징성이 없다는 이유였다. 하지만 개선사업이 시작된 2013년부터 현재까지 사업의 진척이 없는 상황이다.

사업이 지연된 데 가장 큰 걸림돌은 부족한 재정이었다. 정문 개선사업에 필요한 자금은 50억 원가량이지만, 국비 지원을 받기 어렵기 때문이다. 국립대학의 경우 건물 건설 비용을 국가에서 지원받지만, 정문은 건물이 아닌 시설로 취급해 예산 신청이 불가능하다. 이에 사업 초반, 김기섭 전 총장은 자금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2015년 갑작스럽게 사퇴하면서 사업이 중단됐다. 이후 우리 학교는 부산대학교 발전기금을 통해서 자금 확보를 꾀했다. 그러나 ‘정문 및 진출입로 개선사업’의 명목으로 모인 기금은 약 2억에 불과하다. 이후 취임한 전호환 전 총장 역시 정문 개선사업을 공약으로 내세웠지만, 재정부족으로 인해 시행되지 못했다. 지난달 6일 진행된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전호환 전 총장은 약 30억에 달하는 자금을 확보했다고 말했지만, 취재 결과 마련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캠퍼스 기획과 관계자는 “작년 말 개선안을 선정한 뒤 이에 따라 설계를 진행하려 했지만 자금이 모이지 않아 사업이 잠정 중단됐다”라고 전했다.

학내구성원 간의 의견 불일치도 사업 진행을 늦추는 데에 한몫했다. 2014년 이로재 건축사무소가 제시한 설계 1안은 캠퍼스기획위원회의 반대로 폐기됐다. 교통 및 안전 문제와 면학 분위기를 저하한다는 우려 탓이었다. 2019년에는 정문 개선사업 재개를 위해 본부가 설계 제안 공모를 열었으며, 최고점을 받은 일신설계종합건축가사무소가 설계안을 제시했다. 그러나 이 개선안을 놓고 정문 및 주변환경개선 추진위원회(이하 위원회)와 본부가 갈등했다. 개선안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위원회의 의견이 배제됐고, 개선안이 현재 정문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또한 차량과 보행자의 동선이 겹치고, 넉넉한 터가 축소된다는 점을 추가로 지적받았다. 이후 학내구성원의 선호도 투표를 통해 해당 개선안이 선정되면서 또다시 갈등이 이어졌다. 투표의 정당성이 보장되지 못했다는 이유였다.

한편 앞으로의 정문 개선사업 진행 방향은 미지수다. 학내구성원 의견 수렴이나 재정 마련 중 해결된 것이 없기 때문이다. 작년 마련된 개선안에 대한 학내구성원의 반발에도 본부는 개선안을 캠퍼스기획위원회에 상정해 통과시켰다. 이후 설계안에 대한 별다른 의견 수렴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또한 그동안 문제가 돼 온 재정도 마련되지 않았다. 이에 차정인 총장은 목적성 발전기금을 통해 정문 개선사업을 실행하겠다는 공약을 발표했다. 하지만 구체적인 실천 방안은 마련되지 않은 상태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