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학교 2021학년도 정시 추가모집 정원이 증가하면서 신입생 모집에 빨간불이 켜졌다.

우리 학교의 정시 추가모집 정원이 지난해보다 79명 늘어났다. 예년 20명 내외였던 것에 비해 급증한 것이다. 이는 수시모집에서부터 눈덩이가 돼 굴러온 문제라는 지적이 나온다. 우리 학교는 작년 9월부터 시작한 수시모집에서도 신입생 유치에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이다. 예년 15대 1 수준이었던 수시모집 경쟁률이 10.81대 1로 낮아졌고 이로 인해 수시 미등록 인원인 수시 이월인원이 373명으로 늘어났다. 이와 같은 추가모집 정원 증가에 대해 입학본부는 올해부터 정원 외 모집에서도 추가모집을 진행한 것을 원인으로 꼽았다. 입학본부 관계자는 “올해부터 일반전형 외에 농어촌학생전형 등 더 많은 전형에서 추가모집을 진행해 정원이 늘어났다”라며 “기존에는 1차 추가모집까지만 진행했지만 올해는 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상황을 막기 위해 2차 추가모집까지 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와 같이 모집 정원을 채우지 못하면 학교와 학내 구성원 모두가 피해를 볼 수 있다. 우선 신입생 미충원 시 학교 재정에 문제가 생긴다. 학교 자체 수입의 87%를 차지하는 등록금 수익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학교가 진행하는 사업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재무과 정준석 주무관은 “매년 학생 수 감소로 인해 등록금 수입이 감소하는 추세다”라며 “등록금 수입이 줄면 학생들을 위한 사업들도 축소될 수밖에 없다”라고 말했다.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올해 시행되는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의 평가항목인 신입생 충원율 항목에서 감점을 받을 수 있다. 감점이 누적돼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에서 일반재정지원대학에 선정되지 못하면 일반재정지원금을 받지 못할뿐더러 대학이 정부의 다른 재정지원은 신청할 때도 불이익을 받는다. 기획평가과 김신혜 주무관은 “당장 우리 학교가 일반재정지원대학에 탈락할 상황은 아니다”라며 “다만 대학이 정부의 재정지원 없이 생존하기 어려운 만큼 지금부터 신입생 충원율을 관리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처럼 우리 학교를 비롯한 부산권 대학이 신입생 충원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이미 예견된 상황이다. 전국대학노조 김병국 정책실장은 “학령인구가 급감함에 따라 신입생 유치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전국적인 현상이다”라며 “이에 더불어 부산 지역 대학의 경우 수도권 쏠림 현상으로 인해 학생들의 ‘인서울’대학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이중고를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분석했다. 실제 작년 부산의 고3 졸업생은 전년대비 4300명 감소한 2만 7000여 명으로 부산 지역의 대학 정원보다 적었다. 이처럼 부족한 졸업생 인구마저 수도권으로 빠져나갈 우려가 큰 것이다. 

이런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 지역 대학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대학 정원 감축의 몫을 오로지 지역대학이 감당하는 상황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이다. 대학교육연구소 김효은 연구원은 “지금 당장 학령인구 감소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지만 수도권 집중 문제는 정부의 제도와 정책으로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이다”라며 “지역 대학은 신입생 모집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정부와 지자체는 지역 대학에 대한 재정지원을 늘려야 한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