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전문가들은 서울의 일부 대학을 중심으로 서열 매기는 것을 ‘대학서열화 문제’의 시작으로 지적한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하 전교조) 참교육연구소 이영탁 기획실장은 “현재 우리사회에서 대두되는 대학서열화 문제는 학벌사회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수도권중심주의의 결과물”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대학서열과 학벌사회를 조장하는데 우리나라 언론의 책임도 크다”라고 덧붙였다.


  우리사회에서 대학서열화 문제는 다양한 형태로 사회 곳곳에 영향을 미친다. 먼저 그 심각성이 가장 크게 드러나는 문제는 ‘불평등 사회’의 등장이다. 새로운 사회를 여는 연구소(이하 새사연) 최민선 연구원은 “대학서열화로 인해 소위 ‘명문대’ 출신의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많은 연봉을 받는다”며 “명문대 출신의 부모를 둔 자식들은 부모의 경제력에 의해 명문대에 진학하는 결과를 낳아 결코 이러한 상황은 자연스럽게 불평등 사회로 귀결된다”고 말했다. 또한 사교육시장이 팽창하는 것도 주요한 문제 가운데 하나다. 현재 우리나라는 OECD 가입국 가운데 사교육비 지출 1위로 OECD 평균대비 4배 이상의 지출비를 기록하고 있다.


  우리사회에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대학서열화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진보정당은 각자의 대안정책을 제시하고 있다. 민주노동당(이하 민노당)은 ‘국공립대 통합단과대 체제’를 내놓았다. ‘국공립대 통합단과대 체제’는 현재 종합대학인 전국 국공립대를 계열교육별로 하나씩 담당하는 단과대학 체제로 재조직하자는 것이다. 민노당은 중등교육을 절대평가 체제로 바꾸고, 서술형 졸업자격고사를 치른 뒤 합격자에게 국공립대 입학 자격을 부여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이와 비슷하게 진보신당은 ‘국공립대 통합네트워크 체제’를 제시했다. ‘국공립대 통합네트워크 체제’는 전국 국공립대학을 하나로 통합해 대학을 지역별로 캠퍼스화 하자는 것이다. 예를 들면 서울대학교를 한국 26대학, 우리학교를 한국 1대학으로 바꾸자는 것이다. 또 입시 제도를 영어부터 단계적으로 폐지하고, 초?중학교 시험을 폐지한 뒤 교사별 관찰평가와 구술면접으로 평가를 대체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진보정당들의 대안책에 대해 새사연 최민선 연구원은 “대안적인 가치가 있는 제안이지만  대학서열화 문제를 발생시키는 사립대학에 대한 유인책이 부족한 것은 단점”이라며 “국가가 재정지원을 줄이든지 사립대학을 국립대학과 통폐합하는 강제안이 있는데 현실적으로 시행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시민단체 ‘학력없는 사회’ 관계자는 “현재와 같은 대학서열화 문제와 학벌사회의 해결을 위해서는 정부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교육과학기술부는(이하 교과부)는 지난 2월 지역대학 발전과를 신설해 운영 중이다. 교과부 지역대학발전과 박재형 사무관은 “올해 광역경제권 인재양성 사업에 1천억원, 산학협력 선도대학사업에 325억 원의 예산을 책정해 놓았으며 많은 지역대학에 예산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에 ‘학력없는 사회’ 관계자는 “단순히 재정적 지원을 넘어 근본적인 해결 정책을 내놓아야한다”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