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5일 조선대학교의 한 40대 비정규직 교수가 자살했다. 자살의 직접적인 원인은 교수임용에서 계속된 탈락. 하지만 간접적으로 그동안 그가 대학에 몸을 담고 있으면서 겪었던 대학사회 내의 각종비리와 생활고도 한 몫을 했다.  비단 다른 학교만의 문제가 아니다. 2006년 우리학교에서도 자신의 처지를 비관해 한 비정규직 교수가 자살을 했다.


  옛말에 ‘학자는 가난한 법이다’라는 말이 있다. 하지만 시간당 5만원도 안 되는 임금을 받으며 사는 것은 가난한 정도를 넘어 생계유지가 힘든 상황이다. 막연히 전임교수가 되기만을 기다리며 사는 것도 한계가 있다.


  임금뿐만 아니라 비정규직 교수들의 연구 환경도 열악하다. 얼마 전 본부는 일방적으로 비정규교수노동조합의 지원금 일부를 끊었다. 연간 5천만 원 가량 지원하던 논문 게재료와 세미나비용, 그리고 복리후생비 등이다. 국립대 초임교수 연봉이 5천만 원이다. 본부는 전체 강의의 40% 이상을 담당하고 있는 1130여명의 비정규직 교수들에게 전임교수의 1/5도 안 되는 임금을 주면서, 정상적인 연구 활동조차 할 수 없게 만들고 있다.


  ‘고학력 빈곤층’으로 전락한 시간강사들은 착취에 가까운 처우에도 불만을 털어놓을 수조차 없는 처지에 놓여 있다. 시간강사에게 강좌를 넘겨주는 주체가 교수인 만큼 그들의 눈 밖에 나면 곧바로 생활고에 노출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비정규직 교수들은 그렇게 비주류로 살아간다. 주류가 주도하는 사회는 비주류를 배려하지 않는다. 조선대 비정규직 교수도 그렇게 비주류로 살다가 세상을 떠났다. 악순환의 반복이다. 지난 10년간 자신의 처지를 비관해 자살한 비정규직 교수만 10여명에 달한다.


  국내 대기업의 모 회장은 “한 사람의 인재가 10만 명을 먹여 살린다”는 ‘인재경영’을 주장했다. 하지만 자유주의자인 롤즈 조차도 ‘정의론’에서 “수평적 평등뿐만 아니라 수직적 평등도 인정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비주류가 주류로 도약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사회가 진정한 ‘사람사는 세상’이 아닐까.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