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사 대학 평가는 중앙일보가 학생과 학부모 등 교육 소비자에게 대학에 관련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대학 간 선의의 경쟁을 유도한다는 목적으로 1994년 처음 시작했다. 이후 2009년 조선일보가 영국의 글로벌대학평가기관인 QS(Quacquarelli Symonds)와 손을 잡고 아시아대학평가·세계대학평가를 진행하고 있으며, 경향신문도 올해부터 대학평가 사업에 뛰어들었다.

 전문가들은 언론사 대학평가의 기준으로 사용되는 자료들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다고 지적한다. 대학평가의 근거가 되는 자료들을 대부분 학교에서 직접 선별해 제출하기 때문에 자칫 불리한 점은 감추고 유리한 점만 부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각 평가기관마다 기준이 일관적이지 않은 점 역시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기획평가과 이강국 과장은 “평가기관마다 기준이 다르고 해마다 배점이 달라져 혼란스럽다”고 전했다.

 교수회 문채규(법학) 간사는 “평가에 사용되는 지표 자체가 불명확하고 동일한 대상이라도 점수가 일정하지 않다”며 “어느 정도 정형화된 기준이 있어야 하는데 전무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상업적 의도를 지니고 있는 언론사가 대학을 평가한다는 자체가 문제라는 지적도 있다. 평가기관 자격을 인증 받지 못한 언론이 대학평가를 수익사업으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믿을 수 없다는 것이다.

 ‘서울 8개 대학 교수협의회 연합회’는 지난달 7일 성명을 통해 “언론사 대학평가가 각 대학의 특성이나 비전, 전략을 고려하지 않고 획일적으로 줄을 세워 대학의 건강한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며 “일부 언론사의 영향력으로 대학행정 책임자들이 끌려 다니고 있다”고 비판했다. 문채규 간사는 “언론이 대학을 평가하는 것이 과연 바람직한가에 대해 최고 책임자인 총장들이 진지한 고민을 해봐야 할 것”이라고 충고했다. 대학교육연구소 연덕원 연구원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대학평가는 특정 분야만 강조하는 등 천편일률적이고 획일적”이라며 “다양한 지표들을 가지고 평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