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문자 기능 개선해야”

 

★일부 수정을 거쳐 11월 29일 수요일 KBS1 TV 뉴스7에 방송됩니다.

부산에 거주하는 20대 A 씨는 친구를 통해 긴급 재난문자가 왔다는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 당시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었지만 재난문자를 받지 못한 겁니다.

[A 씨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 23]

“지진이 났는데도 재난 문자가 오지 않아 이상했는데, 친구를 통해 재난문자가 왔었다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코로나 팬데믹 당시 재난문자를 차단한 청년들이 많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구글 트렌드와 네이버 데이터랩의 분석 결과를 보면 국내 첫 코로나 확진자가 발생한 2020년 ‘재난문자 차단’ 검색량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코로나 이전 대비 코로나 이후 3년간 연평균 재난문자 발송량이 131배나 폭증한 결과로 보입니다.

특히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분석을 보면, 휴대전화 사용량이 많은 청년 연령대에서 유독 재난문자에 대한 거부감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제로 채널PNU가 부산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재난문자 수신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3분의 1이 현재 재난문자를 수신하고 있지 않다고 응답했습니다.

같은 조사에서 ‘재난문자 기능을 끈 이유’에 대한 응답 77개 중 85.7%(66개)가 ‘재난문자의 알림이 시끄러워서’로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했습니다. 재난문자의 알림 소리가 과하다는 겁니다.

현재 재난문자는 재난의 경중에 따라 △위급 재난문자 △긴급 재난문자 △안전 안내문자 등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되는데, △지진 △태풍 △폭염 △감염병 등에 울리는 위급 재난문자와 긴급 재난문자의 경우 각각 60dB와 40dB로 고정돼 착신음의 크기를 조절할 수 없습니다. 

한국재정학회가 연구한 ‘긴급재난문자의 경제성분석’에 따르면 재난문자 1회 송출 당 피해복구비가 약 1억 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간으로 계산한 결과 약 2,700억 원의 재해 피해복구비가 감소하는 등 긴급재난문자가 상당한 경제성을 가진 것으로 분석합니다.

[표경수 /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통신연구팀장 ]

"재난문자 수신을 거부한 사유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연구를 통하여, 이에 상응하는 대책을 세워야 하겠습니다. 재난문자 송출 기준을 재정비하고, 국민의 목소리를 충분히 조사 연구하여 사용자들이 필요성을 느끼는 정책적·기술적 방안을 심도 있게 연구해 나가야 하겠습니다."

 

 

취재 : 조영민 기자

촬영 : 윤진영, 이지민 기자

편집 : 윤진영, 이지민 기자

 

▶ 더 많은 영상 기사 보기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a29EB6npGhltM002SrIoM5k-ASM7TEMr

▶ 제보 및 문의

channelpnu@pusan.ac.kr, 051)510-1919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